본문 바로가기

뉴스

통합관제센터의 본질은 곧 시민의 안전

지난 2007년 천안시와 아산시, 천안2개 경찰서와 아산경찰서가 시민들의 안전을 위해 ‘천안아산 시민안전 통합관제센터’를 구축한 이후 각 지자체와 자치구는 저마다 통합관제센터를 짓기 시작했다. 그리고 지난 2011년 1월 행정안전부가 전국 지자체 통합관제센터 구축 지원을 발표하면서 대한민국은 통합관제센터 구축 바람에 휩싸이고 있다.

통합관제센터는 기존 방범, 쓰레기투기방지, 주차관리, 주정차단속, 문화재감시, 재난감시 등 다양한 방면에서 사용하던 CCTV 영상을 한 곳에서 관제하는 것은 물론 기존 시스템을 연동해 통합관리 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행정안전부 역시 구축지원 세부 추진계획에서 공익목적의 CCTV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면서 이를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통합관제센터를 구축한다고 밝혔다.


행정안전부는 2014년까지 전국 230개 기초자치단체에 CCTV 통합관제센터 구축을 유도하고 구축비용의 50%를 국비로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이번 구축지원사업의 세부사항을 보면 선정기준으로 통합관제센터 구축·운영에 필요한 예산·인력·장소를 확보해야 하며, 초등학교 설치 CCTV와 연계방안을 협의할 수 있는지, 그리고 마지막으로 범죄발생수가 높거나 재정자립도가 낮은 기초단체 등을 우선순위로 두고 있다.


특히, 행정안전부는 이번 추진계획에 신청 지자체의 사업계획서를 받고 있는데, 이 사업계획서를 보면 CCTV 관리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문제는 행정안전부가 추진하고 있는 통합관제센터가 너무 장비위주, 그것도 CCTV에 집중되고 있다는 것이다. 특히 예산표를 보면 통합관제 시스템과 인테리어, 기존 장비 설치 등이 예산의 전부다. 통합관제센터는 단순히 CCTV 영상을 통합·관제하기 위해 만든 것이 아니다. 여기저기에 산재되어 있는 영상을 통합하는 것은 물론 지역과 상황에 맞는 시스템을 개발해 보다 효율적으로 운용하기 위함이다.


실제로 본지는 지난 2009년부터 전국의 통합관제센터를 취재해 왔다. 그 중에는 단순히 장비위주가 아닌 정말로 놀라운 아이디어와 시스템으로 통합관제센터를 구축한 곳도 있었고 그 반대인 곳도 있었다. 고화소의 CCTV가 몇 대인지, 인테리어가 어떤지가 중요한 게 아니라 어떻게 하면 효율적으로 영상을 통합·운영할 수 있는 것인지, 어떤 아이디어가 시민안전에 도움이 될 것인지를 먼저 생각하는 것이 통합관제센터의 기준이 되어야 한다. 통합관제센터의 본질은 결국 시민의 안전과 편리 추구이기 때문이다.

[원병철 기자(sw@infothe.com)]